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대’ 신화에 휘둘리는 대통령선거

雜說

by betulo 2022. 2. 22. 09:27

본문

728x90

‘응답하라 1988’이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이 드라마를 무척이나 좋아하는 아내 말로는 그 시절을 경험했던 수많은 40~50대가 이 드라마를 보면서 추억에 젖었다고 한다. 이 드라마를 사랑하는 많은 분들이 서운해할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이 드라마는 재미 이전에 흥미 자체가 생기질 않았다. 무엇보다도 ‘그 때는 그랬지’ 하는 감상에 빠진 적도 없고 뭔가 아련한 향수 비슷한 냄새가 난 적도 없다.

‘고증’으로 승부를 건다고 홍보하면서도 박근혜 정부 시절 드라마 아니랄까봐 서울 도봉구 쌍문동에 산다는 등장인물들이 거의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게 참 기묘하다는게 첫인상이었다. 어린 시절 고무신을 신고 다니다 아궁이에 얹은 솥단지로 지은 밥을 먹고, 밤마다 천장에서 들리는 생쥐 소리 때문에 층간소음으로 고통받았던 촌놈으로선 80년대 후반 도시생활 풍경에 공감대가 생길 리가 없다. 명색이 국가에서 관리·운영한다는 국도(國道)가 쌍팔년 즈음해서야 겨우 포장도로가 됐던 전라도 출신에겐 드라마에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포장도로조차 낯선 풍경일 뿐이다.

 


물론 같은 시대를 살았다는 건 누구에게나 엄청나게 큰 의미를 갖는다. 강력한 공통 경험은 공감대를 넓혀주고 비슷한 사고방식까지도 갖게 해주는 힘이 있다. 가령 40대는 젊어서 노무현 대통령의 극적인 승리를 목격했고, 민주화라는 성과와 뒤이은 퇴행을 겪었다. 두 차례 거대한 촛불집회와 대통령 탄핵이라는 흔치 않은 경험 역시 빼놓을 수 없겠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세대 전체를 단일한 집단이나 되는 것처럼 한 묶음으로 처리하는건 과연 얼마나 타당할까.

586새대나 MZ세대처럼 상식처럼 통용되는 각종 ‘세대 담론’은 헛점이 너무 많다. ‘응답하라 1988’에 등장하는 고등학생 주인공들에 해당하는 ‘586세대’만 해도 그렇다. 1960년대에 태어나 고도성장기에 취직해 기득권을 누리고 있다는게 ‘586세대론’의 핵심이지만 실제로는 20대와 함께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가 50대다. 젊어서 대학에서 학생운동을 했다는걸 586세대 특징인양 얘기하는 것도 그렇다. 대학진학률은 1988년에 딱 35%였다. 50%를 처음 넘긴 것도 1995년이었다. 1980년대 대학에 가서 학생운동에 참여한 사람을 절반이라고 가정하더라도 50대 가운데 20%가 채 안된다. 

다르고 낯선 존재를 손쉽게 재단하고 싶은 욕망에 편승한 작명가들은 ‘386세대’ ‘신세대’ ‘X세대’ ‘Y세대’ ‘Z세대’ ‘모래시계 세대’ ‘미생 세대’ 등 각종 신제품으로 호객행위에 열심이다. 과연 요즘 한참 잘나가는 ‘MZ세대 담론’은 뭐가 얼마나 다를까. 호사가들은 새롭고 다르다는 걸 입증하려고 온갖 근거를 갖다 붙이지만 솔직히 ‘혈액형 성격론’ 만큼이나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다.

많게는 수백만명이나 되는 사람들을 나이 하나로만 갈라치려다 보니 온갖 무리수가 안 나올 수가 없다. 1990년대엔 30대를 ‘감각적인 신세대와 옛 세대 사이에 낀, 활자와 비디오 사이에 낀 세대’로 규정하는 얘기를 자주 볼 수 있었는데 당시 피해자처럼 대접받던 그들이 지금은 꼰대의 대표주자로 놀림받고 후속세대를 착취하는 빌런처럼 취급받는 50대다.

‘민주화에 헌신적이었던 386(지금은 586)’과 구분되는 ‘이기적이고 타인과 현실정치에는 무관심한 신세대’라는 분석이 유행한 적도 있었다. '운동권에서 벗어났다'며 "탈정치화"된 세대로 규정당하며 칭찬받던 그 신세대가 지금은 정치참여에 가장 적극적이라는 40대다. 그러고보니 ‘탈정치화된 신세대’라는 레파토리는 요즘 유행하는 ‘이대남’ 담론과 꽤 닮았다.

애초에 20대를 거대한 동일집단으로 보는게 가능한지부터 따져볼 노릇이다. 오히려 20대 내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계급적 차이에 주목하는 정책이 아쉽다.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주유소에서 아르바이트하는 20대에게는 외제차를 몰고 다니는 동갑내기보다 오히려 주유소에서 함께 일하는 50~60대 계약직 아저씨가 훨씬 동질적인 집단이 아닐까. 

호사가들의 ‘자기 충족적 예언’에 휘둘리는건지 아니면 호사가들이 핵심선수인지 모르겠지만 올해 대통령선거에서 '세대' 얘기가 난무한다.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다음 정부에서는 MZ세대 노래를 부르는 건 제발 그만 봤으면 좋겠다. 그 노래는 선원들을 유혹하는 사이렌이 부르는 것이고, 거기 휘둘리다보면 술에 취해 해뜰때까지 도깨비와 씨름하는 꼴을 못 면할 테니까. 

2022년 2월8일자 서울신문에 실린 칼럼을 일부 수정보완했습니다. 

2022.02.22. 수정
끝단락을 바꿨다. 원래는 국가정책이 세대론에 휘둘린다는 내용이었는데 최근 상황을 감안해 대선이 세대론에 휘둘리고 있다는 걸 지적하는 것으로 수정했다. 이에 맞춰 제목도 일부 변경했다. 

발화점: 신진욱, 2021/04/27. <세대로 우리를 가두지 말라>


 

[세상읽기] 세대로 우리를 가두지 말라 / 신진욱

신진욱 ㅣ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선거 이후 ‘세대’ 이야기가 계속되고 있다. ‘586세대’가 얼마나 썩었나? 40대는 왜 남았나? ...

www.hani.co.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