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 5월 국내로 몰래 반입된 폭탄 수백발을 무더기로 압수한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경찰은 폭탄 성능이 강력한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폭탄 제조 책임자가 ‘마자르’라는 사실은 끝내 알지 못했다.
마자르는 당시 식민지 조선과 전혀 관계없는 미지의 외국인 독립운동가였다. 의열단에서 활동했다는 것 외에는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존재가 드러나면 언제라도 목숨이 위험할 수 있다는 걸 염려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만 마자르가 헝가리를 뜻하는 단어여서 헝가리 출신의 폭탄 전문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자르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러시아군 포로가 됐다. 이후 몽골까지 흘러 들어갔다가 그곳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이태준 선생의 운전기사가 됐다. 그를 통해 의열단의 존재를 알게 됐고 당시 의열단이 있던 중국 베이징까지 무작정 찾아갔다고 한다. “약산 김원봉을 아느냐?”고 수소문하고 다닌 끝에 의열단장 김원봉을 만났다.
김원봉과 의기투합한 마자르는 상하이에서 폭탄 제조 실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마자르는 차원이 다른 폭탄을 다량 제조했다. 300개가 넘는 폭탄을 국내로 밀반입하는 데 동참하기도 했다. 영화 ‘밀정’에는 의열단원인 연계순(한지민 분)과 부부로 위장해 폭탄을 국내로 들여오는 루비크라는 유럽 출신 남성이 등장하는데 마자르의 실제 행적을 모델로 삼았다.
1920년대 베이징과 상하이 등에서 의열단원으로 활동했던 유럽 출신 청년에 관한 증언이 여럿 등장한다. 미국 작가 님 웨일스가 쓴 ‘아리랑’의 주인공인 김산은 ‘마르틴’이라는 독일인 폭탄 제조 기술자를 언급했고, 의열단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정화암 역시 비밀리에 폭탄을 만들던 마챌이라는 유대계 독일인을 회고록에 남겼다. 이에 대해 마자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양지선(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학예연구사) 16일 “마르틴과 마챌이 각각 마자르의 독일어와 영어식 발음이고, 활동 시기와 행적 역시 동일하다”면서 “마르틴, 마챌 모두 마자르와 동일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헝가리 노래를 흥얼거리며 폭탄을 제작했던 마자르, 멋쟁이 신사 차림으로 중국과 일본 경찰을 대담하게 속이며 의열단 활동에 참여했던 마자르의 추후 행적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헝가리 국가기록원 동아시아센터 김보국 센터장은 “1920년대 자료를 살펴봤지만 마자르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었다”면서도 “2차 세계대전 이후 헝가리 총리를 지냈던 라코시 마차시 사례를 보면 개연성은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라코시 총리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극동 지역에서 몇 년간 러시아군 포로로 생활했고 이 당시 조선에서 건너온 독립운동가들과 교류했다. 그는 “1920년대 베이징과 상하이에는 헝가리공사관이 있었다. 이 기관이 보유한 여권 자료 등을 확인해 본다면 마자르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지선은 “마자르는 외국인으로서 목숨 걸고 독립운동에 크게 기여했는데도 정당한 평가는커녕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조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독립운동의 가치를 기리기 위해서라도 마자르에 대한 많은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피해자'라는 방패 (0) | 2024.07.25 |
---|---|
남편 따라 항일운동 투신한 중국인 '리수전'… ‘한국인’ 이숙진으로 잠들다 (0) | 2024.07.23 |
해리슨, 랜들, 켄들, 샬레… ‘대한외국인’을 아십니까 (0) | 2024.07.21 |
北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어떻게 흘러왔나 (0) | 2024.04.19 |
할아버지의 훈장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