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복권…하지만 역사바로세우기 단초” | |||||||||||||||
정부, ‘줄타기 결정’ 비판속 발굴 지속 관건 | |||||||||||||||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서훈 의미와 과제 | |||||||||||||||
2005/2/28 | |||||||||||||||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 | |||||||||||||||
정부가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들에게 서훈을 추서하기로 결정한 것은 해방60주년의 의미를 되살리고 과거사를 바로잡아 남북분단을 극복하자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럼에도 보수단체의 반발을 의식해 몽양 여운형 선생에 대해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이 아닌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을 결정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정부는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54명을 ‘복권’시킨 점에 높은 의미를 부여했다. 신용하 국가유공자 공적심사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세계 흐름에 따라 사회주의 계열자에게도 포상이 이뤄졌다”며 “이는 긍정적이고 높이 평가해야 할 방향전환”이라고 강조했다.
23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바라본 북한 기정동 마을이 하얀 눈으로 덮여 있다. 분단 60주 년인 올해 북한의 핵무기 보유 선언으로 한반도 주변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북녘의 산 하는 평화로와 보인다. 양계탁 기자 gaetak@ngotimes.net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는 “완전복권은 아니지만 복권의 단초를 열었다는 점에서 역사를 바로 세우는 첫단추가 될 것”이라고 이번 결정을 환영했다. “독립운동사에서 좌파․사회주의계열은 이들을 빼놓고는 얘기가 안될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갖습니다. 사실 독립운동가 서훈은 군사독재정권이 자신들의 정권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처음 시작했던 거지요. 냉전시대고 분단․반공이데올로기를 선전하려고 사회주의계열을 서훈에서 배제하다보니 독립운동의 실상과는 거리가 먼 모습이 돼버렸던 겁니다. 늦었지만 큰 의의를 갖는 결정입니다.”
한 교수는 그러면서도 “이번 결정은 전면적인 것이 아니다”며 “해방 후 이북으로 간 사람들이나 적극적인 사회주의 성향 인사들은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들을 더 많이 발굴하고 복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결정을 주도한 국가보훈처에서도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었다. 물론 그 핵심에는 독립운동과 해방정국에서 핵심인물이었던 몽양 여운형이 있었다. 신 교수가 “모두 세차례에 걸쳐 투표를 한 것은 전무후무한 일”이라며 “이렇게 힘든 심사과정은 처음”이라고 밝혀 심사위원들 내에서도 이견이 많았음을 숨기지 않았다. 신 교수는 “(일반적인) 애국지사들에 대해서는 심사위원들이 (훈격을) 후하게 드리려고 하는데 여운형 선생의 경우는 관심이 집중돼 있고 포상자체를 반대하는 여론도 많아 너그럽게 하지 못하고 규정에 따라 무기명 투표를 통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결국 국가보훈처는 1급을 주장하는 의견을 개진한 적지 않은 심사위원들과 예상되는 보수단체의 반발 사이에서 ‘줄타기’ 결정을 내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몽양 여운형선생 추모사업회는 “좌우이념과 대립의 갈등을 털어버리고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열겠다는 취지에서 진행된 서훈작업이 또다시 자의적인 것이 된다면 몽양의 활동내용을 아는 국민과 훗날의 역사가들은 무엇이라 평하겠는가”라고 꼬집기도 했다.
죽은 여운형이 남북화해 기폭제 될 수도
여운형은 1946년 직접 평양을 여러번 방문해 김일성과 회담하는 등 남북분단을 막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했다. 당시 여운형은 60세였고 김일성은 34세였다. 장유유서와 체면을 강조하는 당시 상황에서 결코 쉽지 않은 용기를 보여준 것이다.
여운형의 일곱 자녀 가운데 유일한 생존자인 여원구씨는 현재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과 조국전선 중앙위원회 의장직을 맡고 있다. 그는 지난 2002년 8․15민족통일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에 왔다가 아버지 묘소를 찾기도 했다. 국내에는 여운형의 동생 여명구씨 등 10여명의 유족이 있다.
보훈처는 상징성을 고려해 훈장을 여원구씨에게 전달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훈처 규정에 따르면 외국에 거주하는 유족이 정식으로 등록절차를 거치면 연금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여원구씨가 등록을 하면 매달 130만원 가량의 유족연금이 지급된다.
여원구씨가 대한민국 훈장을 받을 수 있을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여원구씨 측에서 대한민국 훈장을 수락한다면 경색돼 있는 남북대화에 돌파구를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죽는 날까지 분단을 막기 위해 노력했던 여운형이 암살된지 58년만에 남북화해의 전령사가 될 수 있을지 북한측의 반응이 주목된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 |||||||||||||||
| |||||||||||||||
2005년 2월 28일 오전 3시 4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
일본 헌법 9조가 위험하다 (2005.3.4) (0) | 2007.03.21 |
---|---|
국가인권위, 인권단체에 이례적 협조요청 (2005.3.4) (0) | 2007.03.21 |
여운형 등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 54명 서훈 (2005.2.28) (0) | 2007.03.21 |
"평화, 비핵화, 한반도 주민 의견 존중" (2005.2.25) (0) | 2007.03.21 |
VJ 조천현에게 듣는 재외탈북자의 현실 (0) | 200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