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가지갑은 얇다. 월 평균 급여가 1백만원 미만인 사람이 과반수다. 50만원도 못 받는 이도 7%나 된다. 저축을 한 푼도 못하는 이들이 29%에 이른다. 자기계발과 문화생활에 10만원을 못쓰는 이가 절반을 넘는다. 대부분 급여 외 부수입도 없다. 1/3이 5백만원 이상의 빚을 지고 산다. 그래서 거의 모두 시민사회단체 재정확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갈망하고 있다.
<시민의신문>이 ‘시민운동가 삶’을 주제로 한 시민운동가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전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201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5일부터 나흘 동안 전화설문조사를 벌였다.
“월 급여 1백만원 미만”
![시민의신문이 '시민운동가의 삶'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월평균 급여가 1백만원 미만인 시민운동가가 49.8%로 나타났다.](http://www.ngotimes.net/articleimg/borigil/2005/06/07/borigil_20050607_183444_943.jpg) |
양계탁기자 |
시민의신문이 '시민운동가의 삶'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월평균 급여가 1백만원 미만인 시민운동가가 49.8%로 나타났다. |
월평균 급여를 묻는 질문에 ‘50만원 이상 1백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49.8%(1백명)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했다. ‘1백만원 이상 1백5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은 31.4%(63명)이었으며 ‘1백50만원 이상 2백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7.5%였다. 특히 5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사람도 7%(14명)를 차지해 충격을 주었다. 2백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사람은 4.5%(9명)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85.6%(1백72명)에 달하는 시민운동가가 강사료·집필료·인세 등 단체 급여와 별도로 고정 수입이 없다고 답했다. 8.9%(18명)은 ‘월 1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월 1백만원 이상은 2.5%(5명) 뿐이었다. ‘월 50만원 이상 1백만원 미만’은 1.5%(3명), ‘월 10만원 미만’은 1.5%(3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56.7%가 가계부채가 없다고 답했으며 5백만원 미만이 9.5%, 5백~2천만원은 11.4%, 2천~5천만원은 15.9%, 5천만원 이상은 6.5%로 나타났다. 특히 기혼자들의 재정상황이 열악했다. 5천만원 이상 부채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모두 기혼자였으며 전체 기혼자 가운데 26.2%는 부채가 2천~5천만원이었다.
“저축 전혀 못하죠”
열악하기만 한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돈을 저축과 자기계발비에 쓰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월평균 20~50만원을 저축한다고 답한 시민운동가는 33.3%(67명)였으며 21.4%(43명)는 월평균 50~1백만원을 저축한다고 답했다. 1백만원 이상은 6.4%(13명), ‘10만원 이상 20만원 미만’은 5.5%(11명), ‘10만원 미만’은 4.5%(9명)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혀 없다고 답한 사람도 28.9%(58명)이나 됐다. 이는 시민운동이 ‘지속가능한 운동’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 달 평균 개인의 성찰과 성장을 위한 비용으로 얼마나 쓰느냐’는 질문에 대해 5~10만원이라고 답한 사람이 28.4%, 5만원 미만은 18.9%였다. 1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시민운동가는 39.8%에 이르렀다. 반면 전혀 없다고 답한 사람도 12.9%에 이르렀다. 응답자 95%(1백91명)가 신용불량자가 아니라고 답했으며 신용불량자는 5%(10명)에 불과했다.
시민운동가들의 재정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해 응답자 가운데 28.9%는 ‘회원 배가, 펀드레이징 등 단체경영기법을 혁신해 단체의 재정 수준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인건비 등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28.3%였다. 이밖에도 ‘시민운동가 공제회같은 자주적인 경제복리활동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17.9%에 이르렀다. 이밖에 ‘공공부문이나 기업 등에서 단체 활동가에게 유리한 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는 응답은 10.5%(21명), ‘노동조합, 평간사협의회 등 활동가들의 단체 내부 매커니즘을 혁신해야 한다’는 답은 6.9%(14명), ‘스스로 선택한 일이므로 활동가 개인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2.4%(5명)으로 뒤를 이었다.
4대보험 가입 72.6%
이번 조사에서는 시민운동가 일반의 통념과 달리 대다수 시민운동가들이 4대보험 혜택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시민운동가 가운데 72.6%(1백46명)는 4대보험에 가입돼 있으며 89%(1백79명)가 ‘대학원 진학 때 단체에서 학비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76.6%(1백54명)는 ‘노동조합 혹은 평간사협의회 같은 상근활동가의 의사를 대변하는 자율적 조직이 없다’고 대답했다.
기혼자는 53.2%(1백7명), 비혼자는 46.8%(94명)였으며 기혼자 가운데 자녀가 2명인 사람이 42.1%(45명), 1명은 24.2%(26명)였다. 3명 이상이라고 답한 시민운동가는 7.2%(8명) 뿐이었으며 자녀가 없다고 답한 응답도 26.2%(28명)이나 됐다. 가족 형태로는 ‘독립’이 64.2%(1백29명)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 슬하는 18.4%(37명), 부모 부양은 17.4%(35명)였다. 응답자 가운데 시민운동 경력이 5년차 이하인 사람이 79명이었으며 6~10년차 43명, 11~20년차 15명, 21년차 이상이 5명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서울 43명, 경기·인천 40명, 호남 35명, 영남 35명, 충청 25명, 강원 18명, 제주5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 가운데 여성은 115명(57.2%), 남성은 86명(42.8%)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 66명(32.8%), 30대 93명(46.3%), 40대 31명(15.4%), 50대 이상 11명(5.5.%)이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http://www.ngotimes.net/articleimg/borigil/2005/06/07/borigil_20050607_183523_551.jpg) |
|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2](http://www.ngotimes.net/articleimg/borigil/2005/06/07/borigil_20050607_183547_062.jpg) |
|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3](http://www.ngotimes.net/articleimg/borigil/2005/06/07/borigil_20050607_183612_085.jpg) |
|
!['시민운동가의 삶' 설문조사4](http://www.ngotimes.net/articleimg/borigil/2005/06/07/borigil_20050607_183631_076.jp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