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총입학 정원을 1500명으로 고수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한 가운데 학계에 이어 시민·사회 단체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는 22일 교육인적자원부가 로스쿨 입학 정원의 근거가 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인당 변호사 수 통계를 왜곡하거나 비교 대상을 달리하는 등 의도적으로 총 정원을 줄였다고 비난했다.또 올바른 로스쿨을 위한 시민인권노동법학계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로스쿨 폐해를 줄이기 위해 변호사 3000명 배출구조가 확립돼야 한다는 의견서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총정원 축소 위한 의도적 왜곡 주장
참여연대는 교육부가 로스쿨 총입학 정원을 1500명으로 정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OECD 평균 변호사 1인당 인구수를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교육부는 OECD 변호사 1인당 인구수를 높이기 위해 한국을 포함해 OECD 29개국 변호사 1인당 인구수를 1482명이라고 발표했다.그러나 이는 통계를 왜곡하기 위한 것으로 정확한 통계는 한국을 제외한 28개국 변호사 인구수 1329명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이로 인해 153명의 차이가 발생,통계 오류를 수정하고 교육부 계산방식(로스쿨 졸업률 90%와 변호사시험 합격률 80%)을 따를 경우 로스쿨 입학정원을 3400명으로 해야만 2006년도 OECD 국가 평균치(한국 제외)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교육부가 도달하겠다는 목표치는 OECD 변호사 1인당 인구수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지표는 판·검사 등을 포함한 법조인 1인당 인구수를 적용했다.결국 판ㆍ검사,공무원,법학교수,기업 법무팀 등에 진출하는 법조인까지 감안하면 로스쿨 총 정원은 최소 4000명선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이 참여연대 결론이다.
한상희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은 “2021년이 되면 OECD 국가의 변호사 수는 지금의 두 배 반이 되기 때문에 한국은 여전히 국민 1인당 변호사 수자가 OECD 꼴찌 수준에 머물러 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비대위,청와대에 의견서 전달
참여연대는 특히 “‘로스쿨 총입학 정원에 관한 교육부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청와대 발표는 총정원 논의 과정을 왜곡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참여연대는 “청와대는 ‘대통령자문 사법개혁위원회에서 총정원을 1200∼1300명 정도로 하는 것이 다수 의견으로 합의됐다.’고 하지만 법조 출신 위원 9명이 찬성한다고 ‘간주’된 것에 불과하다.”면서 “학계와 시민단체,언론계 위원들이 모두 반대했고 사개위 자료에도 1200∼1300명이라는 숫자는 나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이어 “청와대가 각계각층 대표가 합의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명백한 거짓말”이라면서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 말처럼 사실 관계를 다시 확인해야 할 주체는 시민단체가 아니라 청와대”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이날 청와대에 의견서를 전달하기에 앞서 서울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청와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가 사개위에 참여했던 학계와 시민단체 인사들을 여론의 방패막이 삼아 법조의 이해를 감싸고 있다.”고 주장했다.비대위 집행위원장인 정용상 동국대 교수는 “2004년 당시 사개위 위원 21인 중 교육계는 단 4명뿐이었는데도 청와대는 교육계가 합의한 안이라고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이날 청와대에 전달하는 의견서에서 “교육부와 청와대 일부 법조출신 관료들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하는 총정원은 기득권을 가진 변호사들이 신규 변호사의 진입을 막고 전매적인 특권을 지속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면서 “변호사 3000명 배출만이 로스쿨 도입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07년 10월23일자.
“비간부 경찰들에 교문 열자” (0) | 2007.10.28 |
---|---|
관료독주가 민주주의 위기 부른다 (0) | 2007.10.25 |
반값아파트 실패는 분양가 거품 때문 (0) | 2007.10.23 |
꾀병 눈총에 더 아픈 21세 의경 안타까운 사연 (0) | 2007.10.19 |
"국제사회는 버마 문제에 관심 많은 '척'만 한다" (0) | 2007.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