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미진한 파병의 진실과 화해 | |
베트남전 30주년 맞아 시민사회 성찰 움직임 | |
퐁니ㆍ다낭 학살 자성 평화행사 | |
2005/2/18 | |
강국진 globalngo@ngotimes.net ![]() | |
“베트남 파병의 역사를 되새기면서 이라크 파병을 되짚어 봐야 합니다. 한국정부는 베트남 파병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해 이라크에 전투병을 파병한 것 아닌가요?” 이수효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사무처장의 지적이다.
한국정부가 베트남에 파견한 ‘비둘기부대’ 제1진이 사이공에 도착한 때는 1965년 2월 25일. 박정희 정권은 그해 10월 ‘6ㆍ25전쟁 당시의 파병에 보답한다’는 명분으로 육군 2개 연대 규모의 ‘청룡부대’를 냐짱에, 11월에는 ‘맹호부대’를 퀴논에 추가로 보냈다. 하지만 10년 후인 75년 4월 30일 11시, 남베트남의 수도 사이공(현 호치민시)이 함락되면서 십수년에 걸친 베트남전은 막을 내렸다. (오른쪽 사진=월남참전 40년, 종전 30년을 맞이하는 지금. 월남전 고엽제 후유증으로 싸늘한 병상에서 손가락 하나 움직이지 못하며 투병중인 유인목씨(67년 파월), 한 전우가 "나만 멀쩡해서 미안하다"며 뼈만남은 다리를 어루만지고 있다.양계탁 기자 gaetak@ngotimes.net)
올해는 베트남전 종전 30주년, 베트남파병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해방 60주년 테마에 가려 제대로 조망 받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베트남전을 기억하고 반성하는 다양한 움직임이 시민사회에서 일고 있어 주목된다. 베트남에서의 아픈 역사는 이라크 파병의 중요한 성찰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한국의 거울
한홍구 평화박물관 상임이사(성공회대 교수)는 베트남파병을 한국시민사회가 기억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베트남에 제대로 사과도 못했는데 이젠 이라크에 사과하는 운동을 준비해야 할 처지군요. 한일 과거청산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우린 일본 정부와 시민사회를 향해 욕을 해댑니다. 그렇다면 과연 한국은 베트남에게 얼마나 떳떳한지 되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미국인들은 한국전쟁을 ‘잊혀진 전쟁’이라고 하지요. 한국인들에겐 베트남전쟁이 ‘잊혀진 전쟁’이지요. 한국인들이 청산리전투니 보천보전투니 하며 항일운동을 기억하듯 베트남인들은 한국군과 벌인 전투를 바로 청산리전투요 봉오동전투로 기억할 겁니다. 한국인들이 일본 식민통치를 욕하는 걸 베트남 사람들이 들으면 어떤 심정일까 생각해보십시오. 일본 욕할 때면 베트남을 먼저 기억해야 합니다.”
한 교수는 특히 “독립운동가 김규식이 상해임시정부를 대표해 파리강화회의에 참가했을 때 베트남에선 ‘독립의 아버지’라는 호치민이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했다”며 “독립에 대한 열망을 공유했던 한국과 베트남은 동병상련의 아픔을 같이 나눴던 나라”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대통령조차 당연하다는 듯이 국익을 들먹이며 파병의 당위성을 주장한다. 한 교수는 “지금이 베트남에 파병할 당시보다 경제적으로 훨씬 잘살긴 하지만 염치는 더 없어졌다”며 안타까워했다.
“반대급부 차마 말못했다”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는 베트남전쟁 종전 기념일인 4월 30일을 기점으로 베트남전쟁을 다루는 국제회의를 열 계획이다. ‘한ㆍ베 평화의 날’ 행사를 여러 단체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다. 베트남평화의료연대, 민족문학작가회의 등도 관련 활동을 고민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에서는 “해방60주년에 가려 베트남파병과 베트남전쟁이 시민사회에서도 제대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터져 나온다. 한 활동가는 “한국 시민사회의 눈은 오로지 한반도에만 머무르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그럼에도 변화 흐름은 감지된다. 평화단체들이 처음 베트남에서 한국군이 벌인 민간인 학살을 사죄하는 운동을 벌였을 때는 회의적인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 팔레스타인, 버마 등 국제적 분쟁과 인권유린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단체가 생겨서 그런지 변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제민주연대 등은 베트남 등에서 한국기업들이 벌이는 인권침해를 감시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한 활동가는 이를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문제로 느끼기 시작한 증거”라며 한국 시민사회가 성숙하고 있는 증거라 꼽았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 |
| |
2005년 2월 18일 오전 6시 50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
“평화감수성 갖고 분쟁 예방해요” (2005.2.24) (0) | 2007.03.21 |
---|---|
여중생 촛불집회 유죄판결 논란 (2005.2.24) (0) | 2007.03.21 |
서경석 목사 한기총 인권위원장에 (2005.2.18) (0) | 2007.03.20 |
나와우리 ‘베트남과 친구되기’ 활동 주목 (2005.2.18) (0) | 2007.03.20 |
원폭피해, 남북일 시민사회 나서야 (2005.2.4) (0) | 200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