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우울감을 느끼거나 극단적 선택까지 고민하는 사람이 크게 늘어났으며, 특히 20~30대, 특히 여성이 가장 심각한 상황에 내몰려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6일 보건복지부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에 의뢰해 실시한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우울’ 점수는 총점 27점 가운데 5.7점이었다. 2018년 당시 지역사회 건강조사(2.3점)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3월 첫 조사 당시엔 5.1점이었다. 우울 점수가 10점 이상인 ‘우울 위험군’ 비율은 2018년(3.8%)과 비교해 무려 6배나 늘어난 22.8%나 됐다.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 역시 지난해 3월 9.7%였던 것이 9월에는 13.8%, 올해 3∼4월 16.3%로 급격히 늘고 있다. 2018년(4.7%)과 비교하면 3.5배 수준이다.
20~30대는 우울 평균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대와 30대 우울 위험군 비율은 각각 30.0%와 30.5%였는데, 이는 60대(14.4%)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30대는 2020년 첫 조사부터 꾸준히 높게 나타났고, 20대는 조사 초기에는 가장 낮았지만 그 뒤 급격하게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모두 여성(6.2점)이 남성(5.2점)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20대 여성은 우울 점수(7.1), 30대 여성은 우울 위험군(31.6%)이 가장 높았다.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문제 역시 20대가 22.5%, 30대가 21.9%로 가장 높았다. 남성(17.4%)이 여성(15.1%)보다 다소 높게 나왔다. 성별·연령별로 나눠보면 20대 남성과 30대 남성이 각 25.0%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그 다음이 20대 여성(19.9%), 30대 여성(18.7%)이었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국민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특히 20∼30대의 정신건강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맞춤형 심리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백종우 경희대 신경정신과 교수는 “자살예방을 위해선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면서 “결국 지방자치단체에 충분한 인력과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금도 일부 지자체엔 담당자도 없는 게 현실이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전국 19∼71세 성인 2110명을 대상으로 3월 29일부터 4월 12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2.1%포인트다.
시카고미술관 ‘한국 전시실’… 전직 대한민국 공무원의 솜씨 (0) | 2021.06.01 |
---|---|
청사 출입 안면검사 복구한다 (0) | 2021.05.31 |
김부겸 인사청문회 앞두고 살펴보는 대한민국 총리 42명 ‘영욕의 역사’ (0) | 2021.05.03 |
"행안부는 마초 조직" 소리도 옛 말 (0) | 2021.04.30 |
특별방역주간에 공무원들은, “우리만 봉이냐” VS “솔선수범해야” (0) | 2021.04.26 |